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소재별 조각 작품 - 동물02 소재별 조각 작품 - 동물02 01. 러버덕 러버덕(영어: Rubber Duck)은 네덜란드의 설치 미술가인 플로렌타인 호프만이 제작한 대형 고무 오리 조형물이다. 러버덕의 제작자 플로렌타인 호프만은 2001년 박물관에서 옛 도시를 그린 풍경화를 보던 중 "도시를 배경으로 현대적인 물건을 배치하면 어떨까"라는 아이디어를 떠올렸다고 한다. 그는 배치할 물건으로 톨로(TOLO) 사의 고무 오리를 선택했는데, 호프만은 이 제품을 보고 '이걸 만든 사람은 천재다.'라고 말했다고 한다. 본 작품은 상기 장난감을 거대화한 것으로 200여 개가 넘는 폴리염화비닐(PVC) 조각을 이어 붙여 만들었다. 러버덕은 지상과 사슬로 연결된 폰툰 위에 설치하여 관람객이 볼 때 마치 물에 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내부에는 팬이 설.. 더보기 소재별 조각 작품 - 동물 소재별 조각 작품 - 동물 01. 제닝스의 개 제닝스의 개(The Jennings Dog)는 개의 형상을 조각한 로마 시대의 조각품이다. 첫 번째 소장자인 헨리 콘스탄틴 제닝스의 이름을 따서 이름을 지었으며, 사본은 기원후 2세기인 헬레니즘 시대 로마에서 만들어졌다. 원본은 기원전 2세기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약 1.05m 정도의 높이다. 사자 같은 입과 다리 하나는 재발견 이후 다시 복원되었다. 고전 고대에서 살아남은 얼마 안 되는 동물 조각품이지만 같은 개를 모델로 한 비슷한 모양의 대리석 조각들을 바티칸 미술관에서 찾을 수 있다. 02. 코마이누 코마이누(일본어: 狛犬/高麗犬, こまいぬ) 또는 고려견(高麗犬, '고구려개'라는 뜻)은 일본의 신사나 사원의 입구 양옆 또는 본당 정면 양옆에 한 .. 더보기 그리스신화를 바탕으로 한 미술작품 그리스신화를 바탕으로 한 미술작품 01. 바쿠스 바쿠스(Bacchus)는 르네상스 시대의 이탈리아 예술가 미켈란젤로가 1497년 조각한 대리석상이다. 그리스 신화의 신 디오니소스를 묘사한 작품으로, 높이는 203cm이다. 현재 바르젤로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02. 프로세르피나의 강간 프로세르피나의 강간(이탈리아어: Ratto di Proserpina)은 더 정확하게는 프로세르피나의 납치로 번역되며, 이탈리아 예술가 잔 로렌초 베르니니의 대형 바로크 대리석 그룹 조각이다. 1621년에서 1622년 사이에 초기 단계로 베르니니가 겨우 23세였을 때 완성되었다. 이 그룹은 프로세르피나의 납치를 묘사하고 있으며, 프로세르피나는 플루토 신에게 붙잡혀 지하 세계로 끌려간다. 프로세르피나를 높이 들고 있는 플루토.. 더보기 어린이를 소재로 한 미술작품 어린이를 소재로 한 미술작품 01. 사비니 여인들의 개입 사비니 여인들의 개입(Intervention of the Sabine Women, 프랑스어: Les Sabines 레 사비네)은 프랑스 화가 자크 루이 다비드가 1799년에 그린 그림으로, 로마 건국 세대에 의해 사비니 여인들이 납치된 후의 전설적인 에피소드를 보여준다. 다비드는 1795년 뤽상부르 궁에 수감되어 있는 동안 작업을 계획하기 시작했다. 프랑스는 내전 기간이 끝난 후 다른 유럽 국가와 전쟁 중이었다. 다비드는 로베스피에르를 지지하여 투옥되어 있었고, 공포정치와 테르미도르 반동으로 절정에 달했다. 다비드는 이 주제를 대표할 것인지 아니면 호메로스가 동료 그리스인들에게 자신의 구절을 낭송하는 것인지를 주저했다. 그는 마침내 푸생의 ‘사비니.. 더보기 태양을 소재로 한 미술작품 태양을 소재로 한 미술작품 01. 네브라 하늘원반 네브라 하늘원반(독일어: Himmelsscheibe von Nebra) 또는 네브라 디스크는 직경 30센티미터 무게 2.2 킬로그램의 청동제 원반이다. 원반은 청록색 녹청으로 덮여있고 금으로 상징물들이 박혀 있다. 상징물들은 태양 또는 보름달, 초승달, 그리고 별들로 해석된다. 독일 작센안할트주의 네브라에서 발견되었으며, 그 제작 시기는 기원전 1600년경으로 생각된다. 청동기 시대 우네치체 문화와 관련이 있다. 당대의 다른 세공 양식과는 매우 이질적이라 처음엔 위조 논란이 있었으나, 현재는 진품으로 널리 인정받고 있다. 네브라 하늘 원반은 천문 현상을 구체적 실체로 묘사한 것으로는 전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것이다. 2013년 6월에 네브라 하늘 원반은 .. 더보기 고대 그리스의 건축물 - 아테네의 고대 건축물 고대 그리스의 건축물 - 아테네의 고대 건축물 01. 리케이온 리케이온(고대 그리스어: Λύκειον, Lykeion)은 고대 그리스의 체육장이자 이전에는 고대 아테네의 숲속에 있던 공공 모임 장소였다. 리케이온이란 이름은 그들의 수호신인 아폴론 리케이오스(Ἀπόλλων Λύκειος)를 기리기 위해 붙여진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와의 관계로 가장 잘 알려져 있으나, 기원전 334년 또는 335년 아리스토텔레스가 그곳에 소요학파를 세우기 전에도 오랫동안 존재하였고 기원전 323년 아리스토텔레스가 아테네로부터 망명한 이후 기원전 86년 로마의 장군인 술라가 아테네를 약탈할 때까지 존속하였다 02. 바람의 탑 바람의 탑(Tower of the Winds)은 고대 로마 시대 아테네의 아고라에 있는 대리석으로 만.. 더보기 고대 그리스의 미술가 - 건축가 고대 그리스의 미술가 - 건축가 01. 페이디아스 페이디아스(고대 그리스어: Φειδίας, 기원전 480년경 - 기원전 430년)는 고대 아테나이의 조각가이다. 서양 고대 최고의 조각가/건축가로 유명하다. 처음에는 그림을 배웠으나 조각에도 뜻을 두었다. 기원전 449년 페리클레스가 정권을 잡자 그의 친구인 페이디아스는 조각뿐 아니라 아테나이의 예술 활동에 대한 전체적인 지배 위임을 받았다. 그 후 15년간은 그의 전성기로서 그동안에 아크로폴리스 언덕 위에 파르테논 신전을 재건한 것은 그의 최대의 업적이다. 특히 우수한 신상을 만들어 '신들의 상 제작자'로 칭송되었다. 대표작으로 등이 있다. 그는 청동이나 황금·상아로써 거대한 신들의 상을 제작하여 당시 '신들의 제작자'라고 불렸다. 상 등은 어느 것이나.. 더보기 고대 그리스의 예술 Part.1 고대 그리스의 예술 01. 고졸기의 미소 고졸기 미소(archaic smile)는 그리스 고졸기 조각에서 나타나는 모양으로써 특히 기원전 6세기 2사분기에 등장하는데, 대상이 살아있음을 암시하는 듯하며, 행복하다는 느낌을 불어넣고 있다. 사실주의에 익숙한 감상자가 보기에 고졸기 미소는 단조롭고 어색해 보이지만, 동작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자연주의를 지향하는 움직임으로 볼 수도 있다. 고졸기 미소의 유명한 예로 크로이소스 쿠로스가 있다. 그리스 아이기나의 아파이아 신전의 서편 박공에 죽어가는 전사의 모습이 묘사되어있는데, 흥미롭게도 죽음을 앞두고 전사는 미소를 짓고 있다. 고대 그리스의 고졸기(대략 기원전 600년 ~ 480년)에 고졸기 미소를 짓고 있는 사람의 형상을 담은 작품이 많다. 기원전 5세기 이전.. 더보기 이전 1 2 3 다음